곡강마을 자체의 역사는 정리된 적이 없다. 그러나 가까운 흥해에 관한 역사적 자료가 많으므로, 그 중에서 곡강과 관련되었을 것으로 보이는 부분을 요약하여 곡강의 역사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765년 흥해군 지도이다. 왼쪽에 둥근 성이 흥해읍이며, 두 갈래로 갈라진 강이 곡강이다. 그 아래 만입한 부분에 '봉림호'라고 쓰여 있어서 당시에는 이곳이 호수였음을 보여준다.
마을회관 맞은편에 사는 노인회장님 부부이다. 파평윤씨로, 할아버지 때부터 이마을에서 살았다는 윤상수씨는 이 마을에서 태어나 잠깐 나갔던 일을 제외하고는 평생 이 마을에서 살고 있다. 마을 이장을 맡아 일했으며 임기가 끝난 뒤에 다시 이장을 맡아 임기를 두 번 맡았다. 부인 황분선씨는 신광면 기일리에서 시집와서 2남 2녀를 낳고 기르며 지금까지 살고 있다.
나는 어릴 적부터 우리 부모님 덕에 신앙을 쭉 지켜왔지. 우리 아버지가 영수였거든. 그때 일제강점기였는데, 주일날 학교에서 나무하러 가라 하니까 아버지가 나무는커녕 절대 가라 하지를 않으시더라고. 그래서 정학도 당하고, 참 어려운 시절이었어. 그래도 신앙이 있으니까 이 모든 걸 견딜 수 있었지. 만주에서도 살았고, 해방 후에 대구로 와서 살면서도 가난했지만, 하나님 믿고 여기까지 온 거야.
백합처럼 아름답고 향기가 좋은 영덕읍교회 박연락 권사님의 이야기를 소개합니다.
1957년부터 마을 위에 천마지를 축조하기 시작해서 몇 년에 걸려서 못을 막았고, 들판가운데를 흐르는 하천을 정비했다. 이 과정에서 봉림호의 끝 봉림불 앞에 해수갑문을설치하여 역류방지시설을 만들고 간석지 바닥을 준설하여 제방을 만들었고, 천마지가완공되자 저습지의 많은 부분이 농지로 바뀌었다. 이어서 1970년대 중반에는 정영규 동장과원연호 동장 및 이등질 새마을지도자를 중심으로 경지정리 사업이 시행되었다. 확장된농지는 지대가 낮고 물 사정이 좋았기 때문에 주로 벼농사를 지었다. 이로써 저습지 전체가농지로 전환되고 통일벼가 보급되면서 곡강의 미곡생산이 급증하였고 마을의 생활환경이크게 개선되었다. 또한 이 사업은 시행 기간 동안 동민의 취로를 적극 지원하였기 때문에, 농가수입에도 크게 도움이 되었다. 당시의 취로대장을 참고하면, 대부분의 동민은 이 사업에 노역으로 참여하고 보수를 받았으며 그것이 당시 생활개선의 기초자금으로 사용되기도 했다.
김목사의 고향은 경상남도 창원이며 사모의 고향은 울산이다. 장신대학교와 대학원을 졸업하고 청하유계교회 담임목사를 거쳐 1998년부터 곡강교회 당회장으로 있다. 1992년에결혼하여 2녀가 있다. 딸 김한슬(24) 대학생이다. 딸 김다슬(22) 대학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