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태어난 건 일제 강점기 시절이었지. 어머니는 내가 아홉 살 때 돌아가셨고, 나는 할머니 손에 자랐어. 어린 나이에 짐을 지고 일하면서 힘겹게 살았지. 그 시절엔 부역이라는 것이 있어, 한 달에 열다섯 번씩 부역을 나가야 했고, 어린 나이에 무거운 짐을 지고 면사무소까지 걸어 다녔어. 학교에 다니는 것도 쉽지 않았지만, 남의 이름을 빌려 학교에 들어갔지. 해방 이후에도 어려움은 계속됐지만, 나는 가족을 위해 열심히 일했어. 어릴 때부터 시작된 고된 일들은 내 인생의 한 부분이 되었고, 이를 통해 나는 삶의 어려움을 견뎌낼 수 있는 힘을 키울 수 있었어.
패랭이꽃처럼, 세상 고통 속에서도 꿋꿋이 피어나 황혼에는 더욱 아름다운 결실로 맺어지길 소망합니다. 영덕읍교회 문덕채 집사님의 이야기를 소개합니다.
나는 1947년 2월 12일, 포항 기계면 소금실에서 태어났다. 호적에는 2월 11일로 올라가 있지만, 실제 생일은 하루 뒤였다. 그 시절엔 그렇게 되는 일이 많았다. 여섯 남매 중 셋째였고, 집안 형편은 넉넉지 않았다. 그래도 봄이면 송피나무 껍질을 벗겨 죽을 쑤어 먹던 그 기억이, 이상하게도 살가운 유년으로 남아 있다. 배는 곯았지만 마음까지 허기지진 않았다. 1955년, 여덟 살에 초등학교에 입학해 1960년 졸업. 중학교를 마친 건 1963년이었다. 어린 시절부터 나는 공부를 꽤 성실히 했다. 우리 부모님은 교육에 있어서는 결단력이 대단했다. 쌀을 팔고, 송아지를 팔고, 논을 조금씩 늘려가며 자식들 공부를 포기하지 않으셨다. 지금 생각하면, 아버지는 요즘 말로 하면 '투자자'였고, 어머니는 행동하는 실천가였다. 가장 기억에 남는 건, 아버지가 탈곡한 나락을, 어머니가 밤중에 몰래 훔쳐 외가에 팔아 등록금을 마련하신 일이다. 빗자루로 자루를 들어올리며, 남편 모르게 자식들 학비를 챙기던 그 장면은 지금도 생생하다. 새벽에 나락이 줄어든 걸 본 아버지는 눈치챘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아무 말도 하지 않으셨다. 모른 척해준 그 침묵 속에, 두 분이 같은 방향을 보고 있었다는 걸 이제는 안다.
"후련하다." 김광회 안수집사는 자신의 파란만장한 인생 이야기를 풀어놓은 뒤 이렇게 짧고도 깊은 소감을 밝혔다. 1948년생인 그는 충남 행암이라는 작은 마을에서 태어나 거의 80년에 가까운 세월을 그곳에서 보내며 행암교회의 살아있는 역사가 되었다.
조용하고 단단한 사람은 소리 내어 믿음을 외치지 않아도 삶으로 그 진심을 증명합니다. 충남 천안시 작은 마을 행암리에 사는 이규석 집사님도 그런 분이었습니다. 요란하지 않고, 자신의 신앙을 포장하지도 않지만, 이야기 끝마다 “하나님 덕분이지요”라는 고백이 스며 있습니다. 인생화원 팀은 ‘기억될 만한 평범함’을 기록하기 위해 이규석 집사님의 삶을 찾았습니다. 이 특집기사는 화려한 간증보다, 믿음의 무게를 감당해온 사람의 조용한 걸음을 따라갑니다. 세월을 견디고, 마을을 지키고, 예배의 자리를 이어오며 묵묵히 신앙을 지켜낸 이규석 집사님의 이야기를 지금 시작합니다.
칠포리에서 자란 18세 처녀로 봉림불 청년에게 시집왔다. 그해에 6.25가 터졌다. 신혼시절을 온통 피난 다니다가 보냈다. 그 뒤 2남2녀를 낳았다. 자녀들은 다 결혼하여 부산과 포항으로 나가 살고 있다. 남편이 79세 되던 해에 세상을 떠났다. 지금은 홀로 마을에 살명서 시금치 농사를 짓고 있다. 시금치를 수확하고 가공하는 일이 힘들기는 하지만 손자들 용돈을 주고 싶어서 일을 한다고 한다. 손자녀는 자주 오며 할머니의 건강은 양호하다고 한다. 길가 첫집 남편(63) 부인(59) 부부는 부인에게 병이 발견되어 대구의 병원에 치료를 받으러 갔으므로 면담을 하지 못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