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1937년에 낙평에서 태어났어요. 그때는 다들 가난했지만, 서로 도우며 따뜻하게 살았지요. 아버지는 농사일에 성실하셨고, 어머니는 조용히 집안을 돌보셨어요. 형제들이 많아 밥상에 둘러앉으면 늘 북적였고, 웃음소리가 끊이지 않았어요. 나는 어릴 적부터 조용하고 얌전한 아이였어요. 말수는 적었지만, 어른들 말씀은 잘 들었고, 물 긷고 나무하고 동생들 돌보는 일이 익숙했지요. 학교는 3학년까지 다녔지만, 배운 글씨 덕에 지금도 성경 읽을 수 있어 참 감사해요. 그 시절엔 전기도 없고, 비 오면 처마 밑에서 빗소리 들으며 쉬었지요. 명절 때 먹는 찰밥 한 그릇, 새 고무신 한 켤레가 그렇게 기쁘고 귀했어요. 가난했지만 서로 아껴주며 살았고, 그때 배운 성실함과 감사하는 마음이 지금의 나를 만들었어요.
업로드중입니다
업로드중입니다.나는 1940년 울진 바닷가에서 태어났어요. 바다가 지척에 보이는 조용한 시골 마을이었지요. 우리는 네 남매였고, 나는 셋째 딸이었어요. 막내는 아니었지만, 언니와 함께 살림을 돕고 동생을 챙기는 건 당연한 일이었어요. 부모님은 늘 바쁘셨고, 농사일과 집안일이 겹치면 아이들도 일손이 되어야 했지요. 그 시절은 다들 가난했어요. 고무신 한 켤레 아껴 신으려고 장독대 옆에 벗어두고 맨발로 다녔던 기억이 아직도 생생해요. 도시에서 자란 사람들은 상상도 못 할 일이지만, 우리에겐 익숙한 삶이었어요. 그렇다고 항상 힘들기만 했던 건 아니에요. 자매들과 강냉이 볶아 먹고, 바닷가에서 조개 줍던 시절은 지금 생각해도 정겹고 따뜻해요. 학교는 오래 다니지 못했어요. 집안 형편이 넉넉하지 않다 보니 몇 년만 다니다가 일을 거들어야 했지요. 그래도 그때 배운 글 덕분에 지금도 성경을 읽을 수 있으니 얼마나 감사한지 몰라요. 어릴 적부터 자연스레 몸에 밴 성실함과 책임감이 지금까지도 저를 지켜주는 힘이 되었어요. 유년 시절, 고된 삶 속에서도 하나님께로 이어지는 길이 그렇게 천천히 열렸던 것 같아요.
업로드중입니다.
정화석 장로님의 신앙생활은 중학교 시절부터 시작되었습니다. 특별히 누군가의 전도를 통해 교회를 다니게 된 것이 아니라, 부모님을 따르고 친구들과 함께 자연스럽게 교회에 나갔다고 합니다. 그의 집은 교회 사택 바로 옆에 있었고, 담 하나를 사이에 두고 교회가 위치할 정도로 교회와 밀접한 생활 환경이었습니다. 78세인 현재를 기준으로 볼 때, 약 70년 전부터 교회를 다녔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어릴 적 교회의 모습에 대한 기억은 매우 선명한데, 처음에는 교회 건물이 일반 가정집처럼 생겼고, 당시 교육관 자리에는 조그마한 교육관이 따로 있었다고 회상했습니다. 그곳에서 주일학교 예배를 드렸으며, 당시 주일학교 학생 수는 약 40명 정도였다고 합니다.